734 0 0 19 78 0 11년전 0

사립정신병원장

줄거리: W는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여덟 살에 백부에게 출계하고 장가를 들었으나 백부의 몰락으로 처가살이를 하다, 견디다 못해 분가 하였고 T은행 사원으로 근신히 살아 갔으나 그 마저 그만두게 되어 암담하던 차에 부잣집 아들인 P라는 친구가 공인 증에 걸려 보호할 사람이 필요하게 되어 그 친구를 돌보아 주고 돈과 쌀을 얻게 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사립 정신 병원장이라고 별명을 붙여 주었다. 내가 고향 부모님을 뵈러 와 친구(S,K,L,W)들과 이야기하던 중 W군이 P가 오늘 발작을 일으켜 칼을 들고 자신을 해치려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 날 밤 친구들은 해동관에 가서 술을 먹게 되었는데 과거 술을 못했던 W군은 술이 많이 늘어 비틀거릴 정도로 많이 먹게 되었다.술 좌석을 끝 맺고 집에..
줄거리:

W는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여덟 살에 백부에게 출계하고 장가를 들었으나 백부의 몰락으로 처가살이를 하다, 견디다 못해 분가 하였고 T은행 사원으로 근신히 살아 갔으나 그 마저 그만두게 되어 암담하던 차에 부잣집 아들인 P라는 친구가 공인 증에 걸려 보호할 사람이 필요하게 되어 그 친구를 돌보아 주고 돈과 쌀을 얻게 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사립 정신 병원장이라고 별명을 붙여 주었다.

내가 고향 부모님을 뵈러 와 친구(S,K,L,W)들과 이야기하던 중 W군이 P가 오늘 발작을 일으켜 칼을 들고 자신을 해치려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 날 밤 친구들은 해동관에 가서 술을 먹게 되었는데 과거 술을 못했던 W군은 술이 많이 늘어 비틀거릴 정도로 많이 먹게 되었다.술 좌석을 끝 맺고 집에 가려하자 W군은 종이를 가져오게 해 음식을 싸가려고 하니 K군이 창피하니 그러지 말라고 한다. 그때 옆에 있던 K를 잘 아는 기생이 비꼬게 되자 W가 기생을 때리게 되고 K는 기생의 편을 들다 W와 K는 싸우게 된다.

술이 워낙 취한 W 는 넘어져 피를 흘리게 되고 주위 친구들이 뜯어 말렸다. K를 먼저 보내고 나니 W군은 정신을 가다듬고 음식 봉지를 찾고 내가 치워 두었던 음식 봉지를 주자 W는 데질을 쳐놓고 자식 복돌이를 부르며 이런 음식 안 먹어도 산다며 목놓아 울었다. 그러더니 갑자기 자식을 칼로 찔러 죽이는게 어떻겠냐는 둥, 목 졸라 죽이겠다는 둥, 모두 메어 놓고 집에 불을 놓아 한꺼번에 죽이겠다 는 둥 하는 말을 한다.

"내 자식 죽이면 저희들은 성할 줄 알고, 흥 그놈들 내 손에 좀 죽어야 될 껄."하며 별안간 소리쳐 웃었다. 그 이튿 날 부인은 마루에 흠씬 매를 맞아 늘어져 있고 아이들은 기둥에 매져 있었다고 한다.

얼마 후 나에게 L친구로부터 편지가 왔는 데 W는 미쳐 결국 보호하던 K를 칼로 찔러 죽였다는 것이다.
흔히 현진건의 문학적 특성을 사실주의적 경향, 단편소설의 기틀 확립, 서사적 자아인 '나'란 일인칭의 자기 고백적 형식 및 반어적 대립구조 등으로 규정한다. 즉 그 스스로도'시간과 정소를 떠나서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 문학인 다음에야 조선의 땅을 든든히 디디고 서야 할 줄 안다'고 밝히고 있듯이 현실 재현에 대한 정직한 솔직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사진사적인 수법상으로서의 것만은 아니다. 1920년대의 사회적 현실의 음영을 '조선의 얼굴'이란 총체성으로 귀납해 놓고 있어서 리얼리스트로서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다.

한편 비교적 근대적 형태의 단편소설은 한국문학의 경우 1920년대에 와서야 그 본격적인 면모를 지니게 되는데, 특히 현진건은 간결성, 일관성, 통일성 등으로 단편적인 생의 단면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단편에 능한 작가이다.

그의 문학은 자기 노출적 셩향이 농후한데, 이같은 점은 서술의 시점 설정을 일인칭인 '나'로 설정해 두고 있다는 점에서다. 이같은 소설에 있어서의 '나'는 시의 경우의 '나'가 흔히 서정적 자아로 일컬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사적 자아'이다. 이런 일인칭 서술자의 빈번한 제시는 주로 스스로의 경험 영역의 회상이나 보고와 관련되기 때문에 그만큼 주관적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이 작가는 이러한 주관적인 시점을 통해서도 거리의 근접화를 피한 자기 말소적인 표현의 제시를 보이고 있으며, 현실의 전기적 허구화보다는 자아를 통한 현실의 현실적 고정화로서의 기록적 재현성을 꾀하고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